[리눅스06] 자주 사용하는 vi 에디터 명령어 및 모드 + GCC 사용법 정리

“vi는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오픈 소스 기반 텍스트 편집기입니다.”

  1. vivi 접속 vi[파일명] vi를 입력하면 vi 화면만 나타나고 저장 후 종료 시 파일명을 입력하여 진행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vi 파일명을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생성되어 해당 파일을 vi 에디터에서 엽니다. 만약 해당 파일명과 이름이 같은 파일이 있다면 파일을 만들지 않고 해당 파일을 계속 편집하게 됩니다.

enter를 누르면 vi 에디터가 표시됩니다.

vi 에디터에 처음 들어가면 커맨드 모드 상태가 되는데 명령 모드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고 일단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모드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명령 모드에서 i를 입력하십시오.

2.끼움모드(입력모드)

명령 모드(esc) 상태에서 +i

문자 그대로 입력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백스페이스나 커서 이동 등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간단한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3. 저장 및 종료-ex모드(콜론모드)

명령 모드(esc)에서 : (코오롱)을 통해 ex 모드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액세스 가능 (아래 사진 하단을 참조해 주세요.) 일단 가장 기본적인 wq로 저장해 가겠습니다. 파일은 잠시 후 컴파일 할 테니 지우지 말고 놓아두세요.

q-종료w-저장wq-저장후종료!-강제ex)q!강제종료

4. 명령모드

아까 글로 적어놨는데 명령어 모드는 esc로 접속 가능합니다. esc를 누른 상태에서는 입력과 관계없는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다음과 같이 vi 에디터를 열고 문자를 입력해 줍니다.

(커서의 위치를 잘 살펴보세요.) 행삭제 – dd수줄삭제(삭제하고자 하는 행수) dd

커서를 위 위치에서 (해당 행에서) 3dd를 입력해 주었습니다.

3열이 사라집니다.커서 j에 가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dd를 입력해주시면

j가 입력된 행이 사라집니다.

이번에는한글자씩삭제해보겠습니다.

문자삭제-x복수문자삭제(삭제하고자 하는 글자수

f에 커서가 간 상태에서 x를 누릅니다.

한 글자가 없어집니다.커서를 위로 올리고 d에서 3x를 하면 d3글자가 사라집니다.

명령 모드 상태에서 입력 커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방향키와 키보드 알파벳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h-왼쪽 j-아래 k-위 l-오른쪽

명령 모드에서 u를 누르면 한 단계 앞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undo) # 명령 모드에서/찾을 문자열을 입력하면 해당 문자열의 시작 지점으로 이동합니다.

5. 비주얼 모드 (복사 및 붙여넣기)

명령 모드로 넣는 모드에는 입력 모드 외에도 비주얼 모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해당 모드에서는 코드를 선택, 복사,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비주얼 모드는 명령 모드 상태 + v를 통해 들어갈 수 있습니다.이 외에도 ctr+v를 통해 접속하면 문자가 순서대로가 아닌 직사각형으로 선택됩니다. shift+v는 행 단위로 선택합니다.

명령 모드+v

커서가 있는 지점에서 방향키를 움직이면 문자가 선택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글자를 끝까지 골라볼게요.

<카피> 문자가 선택된 상황에서 y를 입력합니다.

바닥 줄에서 “3line yanked”라는 문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붙이기> 비주얼 모드로 p를 입력합니다.

6.gcc 컴파일러

gcc는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C 컴파일러로 GNU Comppliler Collection의 약자입니다. 과거에는 Compiler였지만 java, C+ 등도 컴파일 할 수 있게 되면서 compiler collection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gcc[컴파일할 파일명]입니다.여기에 자주 쓰는 옵션 좀 주시면…gcc-o [컴파일해서 나오는 파일 이름][컴파일할 파일명]

처음에 만든 코드를 컴파일 해볼게요.

컴파일 한 파일은… 파일명을 입력하면 실행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