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고혈압 약 중에는 이뇨제와는 달리 말초혈관을 넓혀 혈관을 강화하는 니페디핀이라는 약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적게는 6%, 많게는 63%까지 잇몸 증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치간 잇몸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 체내 세균의 양이 늘어나 치주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경우 절제술과 같은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잇몸 위생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다음으로 입 안에 붉은 발적과 흰 레이스 그물 모양의 염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편평태선입니다. 드물지만 구강암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김현정 서울탑치과병원장님께서 설명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동영상을 클릭하십시오.:)
◎ 유튜브 숏컷 ↓↓

서울탑치과병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395층 서울탑치과병원
고혈압 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치과에 가서 상담할 때는 약에 대한 정보를 주치의에게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국소 마취제인 혈관물 축제와 혈압약이 상호 작용해 혈압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가끔 치과 치료를 위해서 혈압약을 안 드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혈압약은 꼭 먹고 치과 주치의에게 정확하게 알려주세요.혈압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아침 치과에 가는 것도 추천합니다.이상으로 오늘은 고혈압 환자가 치과 치료를 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치과 주치의와 혈압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여 안전하게 치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고혈압이랑 치아랑 어떤 관련이 있는 걸까요?고혈압 환자는 대부분 정기적으로 고혈압 약을 먹습니다. 일부 고혈압 약의 일부 성분이 구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뇨제 성분이 입안의 침 분비를 억제하고 구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구강건조증이 장기화되면 혀나 입 점막이 뜨거워지는 구강 작열감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는 것이 어려워 구취나 충치가 생길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 약을 처방받거나 물을 자주 마시고 무당캔디, 정기적인 불소도포가 필요합니다.
고혈압 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을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안녕하세요. 자신의 치아를 100세까지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서울톱치과병원입니다.고혈압은 현대인이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전신 질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치과에서도 고혈압 환자를 자주 만납니다.모든 고혈압 환자가 치과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니지만 160/105 이상으로 조절이 안 되는 경우 간단한 구강검사나 충치치료를 할 때 주의 깊게 시행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