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동 인공위성

개봉|2015.02.05 장르|다큐멘터리 국가|한국 러닝 타임|105분

포스터나 스틸컷의 출처 = 네이버 영화

2012년 세계 최초로 개인이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순수 개인자본으로 개인이 제작한 인공위성을 발사한 것.

어느 일요일 오후 늦게 마감과 회의 일정으로 꽉 찬 음주 일정을 조금이라도 잊으려고 OTT 플랫폼에서 볼만한 영화를 찾던 중 우연히 발견한 <망원동 인공위성> 얘기다.

인공위성을 제작한 주인공은 이미 프로그램에도 여러 차례 출연한 이력이 있는 것은 영화 정보를 검색하다가 우연히 알게 된다.

영화 도입 부분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보안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에서는 장례 티셔츠를 판매하고 1억원의 비용을 마련하고자 꿈과 희망을 이야기하던 예술가는 영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심경의 변화를 경험해 나간다.

“당신의 별을 쏴줄게요.”라는 솔깃한 선전 문구를 제안한 백화점 스폰도 눈, 발리우드 재력가로부터 받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불법 영화 홍보 제안도 거부하고 자신의 꿈과 희망을 지키려고 노력하지만 돌아오는 것은 10만4천원의 전기료와 129만3천원의 가스요금 체납 고지서, 1억원의 수수료, 보험료로 내야 하는 1억원여(960억원에 대한 보험료)의 부채다.제작비는 그 비용이 얼마인지도 모른다.

지난 6년간 즐겁게만 생각했던 이 프로젝트가 점점 현실로 다가오면서 어댑터를 만드는 프랑스 회사에서는 계약한 대로 송금을 해달라고 재촉하고 러시아의 소유즈 로켓 발사 계획은 언제인지 모르는 일정으로 미뤄지고 만장의 티셔츠는 팔리지 않아 작업이 신선하고 의미가 있을 것 같다며 도와주러 온 자원봉사자는 기다림에 지쳐 나가고 인공위성 실제 제작을 맡아줘야 하는 청계천 정밀업체는 외면하고 그나마 이 작업의 의미를 이해해 주는 몇몇 사람만이 그의 곁에서 절실한 역할을 하고 있는 상황.

수차례 발사 연기 끝에 결국 선호준웅 인콘 위성을 쏘아 올렸지만 그의 인공위성은 통신이 두절되고 나의 희망, LED 빛이 반짝이기를 기다리며 쏘아올렸던 그의 위성은 그렇게 우주로 사라졌다.

생각하면 만장의 티셔츠를 만원에 팔려면 로고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만들어줘야 하고 티셔츠 뒷면에 꿰매기도 해야 하고(1000원) 한 장 접어 비닐로 감싸 후주소를 출력해 택배를 보내야 하는데 하루 백 장씩, 3개월 이상이 매일 해야 도달할 수 있는 목표였다.

인공위성을 만들기 위한 각종 부품을 주문하고 프랑스 러시아 등 전 세계 여러 인공위성학회에서 발표를 위해 수시로 해외에 다녀와야 하는 상황에서 혼자 티셔츠만 장을 팔면서 인공위성 제작을 위해 청계천을 헤매고 모르는 내용을 공부하면서 제작된 부품을 납땜으로 조립해야 한다.그것도 한 치의 오차 없이 10cm 길이의 입방체 안에 1kg의 무게를 초과하지 않도록.

작업이 진행되면서 자신이 불가능에 도전하고 있음을 실감해 나가는 예술가는 점점 꿈과 희망이 도대체 무엇인지 자괴감에 빠진다.

자본이 없으면 꿈과 희망도 사라질지, 국가도 과학자도 아닌 그저 평범한 한 개인이 우주에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다는 건청마루 불가능한 일인지…

누군가 지금 자신에게 100억원을 주면 그 돈에 꿈과 희망을 팔아 버린다고 자조 섞인 농담까지 곁들인다.물론 그는 절대로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

파워 유닛 메인보드 페이로드 적외선 센서 슈퍼캡터 배터리 디플로이먼트 스위치…….

끝없는 부품을 설계, 제작, 조립, 완성시켜야 한다.

1년 전에 이거 한번 해보자 그랬는데 이틀 전이야… 어떻게 이럴 수가 있어?

뭘 하고 있는지 모르겠어.초현실이야, 초현실.

내일 프랑스에 조립한 인공위성을 보내야 하는데 새벽에 OTL자세로 무릎을 꿇고 그동안 아무것도 못한 자신을 원망하고 기도인지, 그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속마음을 읊는다.

이제 12시간도 안 남았어.

납땜도 하나도 못했어.

3시간 남았어.조립 못할 것 같은데?

통신은 되지? 확인했어?아니…

제작에 들어가기 전 안 되면 돌멩이라도 쏘아 올리겠다는 자신감은 이미 어디론가 사라진 지 오래지만 이렇게 마음에 들도록 뭔가를 만든 적은 별로 없다며 외곽 프레임 치수가 맞지 않는 가조립 인공위성을 아끼고 있다.

다만 인공위성이라는 물체를 쏘아 올리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훨씬 쉬웠을 것이다.

곳곳에 기업의 스마트폰을 받아 필요한 인력을 찾아 만들고 프랑스 어댑터 회사를 거쳐 러시아로 보내면 된다.

그러나 송호준은

국가와 개인, 아마추어와 프로페셔널, 과학과 예술의 경계점에 대한 질문을 하기 위해 인공위성 만들기에 도전하겠다고.

한 방송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기술적인 성공은 중요하지 않다.전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하는 일이라는 목표로 결국 어떻게 인공위성은 발사됐고 손호준의 꿈은 이뤄진 게 아닐까.

꿈과 희망은 무엇인지 모르지만 일단 전하는 것입니다, 라는 자조를 거쳐 나라에도 희망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자괴감을 극복하고 이룬 결말에 박수를 보낸다.

자신의 꿈과 희망은 자신만이 지키고 이룰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인공위성 발사 후 손호준은 자신의 계정에 인공위성 제작 관련 자료를 오픈소스로 공개해 누구나 인공위성 만들기에 도전할 수 있도록 레퍼런스를 제공하고 있다.

OSSI

OpenSourseSateliteInitiative

1만 장의 티셔츠에 새겨진 로고의 의미를 실천하고 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