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드라마를 모두 보는 데 걸린 시간은 약 1년 8개월로 추정된다.넷플릭스에서 방영해 보다가 올해부터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마지막 시즌은 어려운 경로를 통해 보게 됐다.
12시즌이 마지막이니까 12년간 시청자들에게 보여준 드라마이기 때문에 1회를 보자마자 12회를 보면 세월의 흔적을 느낄 수 있다. 특히 페니…반면 셸던은 극중에서도 어린 아이 같은 성격을 갖고 있어서인지 12년이 지나도록 크게 변하지 않았다.
내가 대학원 다닐 때 봤던 프렌즈라는 미드와 구성은 비슷하지만 다른 게 있다면 제목에서 보듯 배경이 MIT 박사들(하워드 왈로위츠 제외) 얘기다.
위 사진의 중심에 있는 셸던 쿠퍼는 이론 물리학자이자 끈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으려고 하지만 중간에 끈 이론을 포기하고 우여곡절 끝에 마지막 시즌에 대칭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는다. 그리고 끝.
나는 하워드 왈로위츠와 같은 공대 출신이고 마찬가지로 박사학위도 없고 나머지 인물들이 박사학위가 없다고 조롱할 때 약간의 발끈하기도 했지만 우주선에 탄 것을 제외하고는 엔지니어로 보이는 장면은 극히 드물다.
제목은 빅뱅 이론이지만 극 중 셀던이 연구하는 이론물리학 분야는 대부분 끈 이론이고 마지막에는 대칭 이론으로 노벨상을 수상해 이 드라마의 제목을 왜 빅뱅 이론으로 만들었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나름의 전문성 있는 내용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일반인인 나로서는 모두를 이해할 수 없었다.그런데 신기하게도 재미있다.
빅뱅 이론이라는 이론은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 거꾸로 생각해 보면 우주는 한 가지 점에서 비롯됐다는 것으로 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이론일 것이다.끈 이론은 불과 수십 년 전에 나온 최신 이론으로 다차원을 설명하는 상당히 복잡한 이론으로 알고 있지만 대칭 이론은 무엇을 말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근거 없는 이론은 아닐 것이다.
이 드라마를 보면서 가장 아쉬운 것은 내가 스타워즈나 스타트랙을 보지 않았다는 것이다.그 영화에 나오는 내용을 꽤 많이 얘기하는데, 그 영화를 안 본 나로서는 이해력이 부족해서 배경은 웃음소리가 나는데, 나는 왜 웃을 방법이 없다는 게 아쉬웠다.
이 드라마는 워낙 유명한 드라마라서 그런지 꽤 유명한 사람들이 카메오로 출연하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역시 일론 머스크다.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핫한 인물인 일론 머스크가 이 드라마에 나온 것은 알고 보니 2015년도였다.물론 당시에도 유명했겠지만 지금은 그때에 비하면 넘을 수 없는 벽급 인싸가 돼버린 일론 머스크는 지금의 그의 이미지인 외계인이나 동전 사기꾼, 천재 기획자 같은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냥 동네 아저씨 같은 느낌이야.
이 밖에도 빌 게이츠, 고 스티븐 호킹(이분은 실제로 출연했는지 이미지만 출연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등 많은 사람이 알 수 있는 사람들과 나도 잘 모르는 유명 배우 및 지역 관계자까지 출연했다.스타트랙처럼 이 사람들을 잘 몰라서 대사를 이해하지 못한 것도 아쉽다.
대학 시절 프렌즈를 보면서 영어 듣기 좋았던 기억이 난다.효과는 전혀 없고 그냥 드라마만 재미있게 본 기억이 있다.이 드라마는 발음이 꽤 뚜렷한 편이다.(라제시 크라팔리 제외) 하지만 듣기 공부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우선 드라마가 너무 재밌어서 내용을 놓치고 싶지 않아 자막에 집중할 것이고 결정적으로 말이 너무 빠르다.(특히 셸던)
마지막으로 이 드라마를 보고 새로운 습관이 하나 생겼다.내가 아이들의 방문을 노크할 때다.
(통통)딸, (통통)딸, (통통)딸은 정말 싫어하지만 나는 너무 웃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