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압의 종별과 전선에 관한 내용 정리이다.
1.전압의 종별전압의 크기에 따라 저압, 고압, 특고압으로 구분한다.- 저압은 교류는 1000[V]이하, 직류는 1500[V]이하를 저압이라고 한다.* 규정이 개정되면서 저압에 대한 부분이 바뀌었기 때문에 출제될 수도 있다.고압은 저압보다는 높게 7000[V]이하까지를 말한다.- 특고압은 7000[V]초과하는 전압을 특고압이라고 한다.

2.전압의 식별-3상 사선식은 3개의 전력선과 1개의 중성선을 말한다.- 이를 기준으로 첫 번째 선(L1), 두 번째 선(L2), 세 번째 선(L3), 중성 선(N)으로 표기하며 각 전선의 색상은 갈색, 흑색, 회색, 청색을 사용한다.- 전기기기 외함에 노출 도전부(기기 외함)를 대지와 연결시키는 보호도체(PE) 색상은 녹색과 노란색이 섞여 있는 전선을 사용해야 한다.
- 참고로 저압절연전선으로 사용 가능한 전선이 시험문제로 나온 적이 있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나간다.- 저압절연전선으로 사용 가능한 전선은 1)450/750[V]비닐절연전선 2)450/750[V]저독성난연폴리오레핀 3)450/750[V]저독성난연가교폴리오레핀 4)고무절연전선 등이 있다.

3) 전선연결
전선 접속은 전선의 길이가 짧은 상황 등에서 전선을 연결시키는 것을 말한다.이때 필요한 조치가 있을 수 있는데 그런 기준을 말하는 것이다.1) 인장하중을 20%이상 감소시키지 말 것2) 접속관 및 기타 기구를 사용할 것3) 접속부분은 동등이상의 절연능력을 확보할 것4) 다른 금속(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전선을 사용할 때에는 부식되지 않도록 할 것.

4. 2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전선은 병렬로 사용할 경우 필요한 기준을 말한다.1) 구리(구리)전선을 병렬로 사용할 때에는 50스퀘어(mm²) 이상의 전선을 사용할 것 2)알루미늄(Al)전선을 병렬로 사용할 때에는 70스퀘어(mm²) 이상의 전선을 사용할 것 3) 같은 도체(재료), 같은 길이, 같은 굵기로 사용할 것 – 길이, 재질, 굵기에 따라 저항이 바뀌게 되므로 저항을 같게 해야 허용전류도 같기 때문이다.4) 동일한 터미널 러그에 접속할 것5) 병렬로 연결할 때에는 각각 퓨즈(Fuse)를 설치하지 않을 것-병렬 연결이므로 각각 퓨즈를 설치하면 고장시 회로를 끊어주어 기기를 보호해야 하는 퓨즈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교류회로에 병렬로 사용할 때 전선금속관내의 전자적인 불평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
전기설비기술기준 용어정리 복습!!! 전기설비기술기준과목은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자격증으로 모두 나와… m.blog.naver.com
#저압기준 #고압기준 #특고압기준 #초고압기준 #전선의식별 #갈흑회청 #중성선색 #보호도체색 #녹색황색접지선 #저압절연전선 #폴리오레핀 #전선연결 #전선연결 #인장하중80% #전선병렬연결시 주의사항 #조경필교수 #수호란의전기생활 #전기기사필기 #전기산업기사필기 #전기공사기사필기 #전기공사산업기사필기 #전기자격증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