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외곽 천체, 1680년대 대혜성(C/1680V1) 현재까지 궤도가 알려진 태양계

1680년대 대혜성(C/1680V1)은 상세한 관측 자료가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천체 중 하나입니다.1680년 11월 14일 독일의 천문학자 로트프리드 키르히(Gottfried Kirch 1639~1710)가 발견한 1680년대 대혜성은 망원경으로 발견된 최초의 혜성으로 1600년대에 관측된 가장 밝은 혜성이다.혜성에는 발견자의 이름을 짓는 관례에 따라 길희혜성(Kirch’scomet)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리에브 베르스예르가 그린 1680년 대혜성(출처: 위키백과) 11월 30일 이 혜성은 지구와 가장 가까운 0.42AU 거리를 통과해 12월 18일 근일점인 태양으로부터 0.00622AU에 도달합니다.근일점은 태양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므로 태양 표면을 기준으로 하면 태양 반경의 1/3 수준인 불과 약 0.00157AU(235000km) 거리를 통과한 것입니다.태양을 지나간 혜성은 12월 29일에 가장 밝아졌고 1681년 3월 19일에 마지막으로 관측됩니다.조선왕조실록에는 길희의 발견과 7일째인 1680년(숙종 6년) 11월 21일에 처음 관측이 보고되었고, 1681년 1월 25일까지 육안 관측이 가능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혜성은 낮에도 보일 정도로 밝아졌고 매우 긴 꼬리를 자랑했습니다.

스테라리움에서 1680년 12월 29일 로테르담에서 본 1680년대 대혜성(출처: 위키백과) 이탈리아의 성직자이자 지질학자, 천문학자였던 에우세비오키노(Eusebio Kino 1645~1711)는 1680년 말부터 1681년 초까지 1680년대 대혜성을 관측하고 멕시코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아이작 뉴턴(Issac Newton 1642~1727)은 이 혜성의 궤도를 분석해 케플러 법칙을 증명하기도 합니다.

뉴턴의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기록된 1680년 대혜성의 궤도(출처: 위키백과) 1680년대 대혜성은 근일점이 0.006222AU, 원일점이 약 889AU인 0.99986의 극단적인 궤도 이심률을 가지고 있습니다.공전 궤도 경사 각도 60.7°로 크고 공전 주기는 10400년 정도로 예측됩니다.

1680년대 대혜성의 공전 궤도(출처: NASA) 관측은 불가능하지만 2020년 11월 현재 1680년대 대혜성은 태양으로부터 256.458AU 거리에서 원일점을 향하고 있습니다.1680년대 대혜성은 현재까지 궤도가 계산된 태양계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물론 기원전 44년에 관측된 시저 혜성(Caesar’s Comet)처럼 800AU 이상의 거리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되는 혜성도 있지만 관측 기록이 부족해 공전 궤도나 현재의 위치를 특정하기는 어렵습니다.지금까지 가장 먼 곳에서 발견된 천체는 파파아웃(FarFar Out)이라 불리는 해왕성 바깥 천체로 2019년 140여 AU 거리에서 발견되었으며 보이저 1호는 2020년 11월 현재 태양으로부터 151.185AU 거리에서 태양계 밖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