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 ACEI, ARB, BB) [약물치료학] 순환계 #2 고혈압(고혈압)

이번에는 고혈압 치료제로 주로 쓰이는 4가지 약물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이상하게도 철자 앞 글자만 따면 A, B, C, D가 되는 이들 약물 덕분에 외우기가 한결 편했다는 기억이 난다. 사실 지금도 그렇게 기억하고 있어

이제 각각의 고혈압 약물그룹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혈압을 낮추는지 알아보자!

쓰다보니 문장이 길어졌으므로 이뇨제(Diuretics)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1. ACEI(ACE효소 억제제), ARB(안지오텐신 수용체 블로커) 1) 약리 메커니즘이 두 친구는 스펠링이 A로 시작될 뿐만 아니라 신장에서 혈압을 올리는 메커니즘인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에 작용해 혈압을 낮추는 공통점이 있다. 그렇다면 먼저 RAAS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이다.이 시스템은 여러 단원에서 여러 번 나오는 기전이므로, 제대로 알아 두는 것이 좋다!

RAAS는 우리 몸에서 혈압이 떨어지면 신장에서 이를 감지해 레닌이라는 물질을 분비하면서 시작된다. 한 블로그에서 본 결과 신장이 이런 기능을 하게 된 원인으로는 신장에서 혈액 얼룩을 걸러내기 위해서는 일정 혈압이 필요한데 혈압이 낮아지면 이 여과시스템이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여과를 위해 이런 기능이 생겼다는 것이다.

신장에서 분비된 레닌은 간에서 생성된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1로 전환하고, 안지오텐신1은 폐에 있는 ACE라는 효소에 의해 하지오텐신2로 전환된다. 안지오텐신2는 뇌하수체의 후엽에서 ADH(바소프레신), 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을 생성하도록 자극한다. 바소프레신과 알도스테론은 다시 신장에 작용해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킨다.

이 RAAS 과정에서 ACEI와 ARB는 각각 안지오텐신 1에서 2로의 전환과 안지오텐신의 역할을 방해해 결과적으로 혈압 하강을 일으킨다.

2) 명명법 ACEI에 해당하는 약물은 -pril의 어미를 갖는다. Ex) Lisinopril, Eternalapril, Captopril ARB에 해당하는 약물은 -sartan 어미를 갖는다. ‘Ex) Telmis artan, Losartan’ 한창 때는 에이스 프릴, 알부탄으로 외웠다.

3) 특징 ACEI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마른 기침이 있으나 ARB에는 없다. 이 때문인지 주로 임상에서는 ARB를 고혈압의 1차 약재로 사용한다. 잘나가는 테르미탄이나 코사탄의 상품명을 가지고 있는 약재도 모두 이 계열에 속한다. 주로 -탄으로 끝나고 약품명만 봐도 ARB 계열이네.

2) BB (베타블로커) 1) 약리기전

자율신경계 모식도

교감신경 계절 후 뉴런의 신경전달물질인 아드레날린(NE)의 수용체(α1, β1, β1, β2)는 작용하는 신체 위치마다 그 종류가 다르다. 그중에서도 심장에 존재하는 아드레날린 수용체가 베타1 수용체이다. 아드레날린에 의해 흥분한 심장의 베타1 수용체에 의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교감신경의 작용 중 하나인 심박수가 증가하고 혈압이 올라간다. 여기서 우리의 BB(베타 블로커)는 베타1 수용체를 막아 심박수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혈압을 감소시키게 된다.

*복잡하고 미묘한 자율신경작용제를 매우 신중하게 정리하여 다음 포스팅한다.

2. 명명법주에 -lol로 끝나는 어미를 갖는다. Ex) Atenolol, Propranolol, Bisoprolol 폴로 외우면 된다.

3) 특징 베타 블로커는 고혈압 1차 치료 약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BB사용시 갑자기 끊으면 반동성 고혈압이 되기 때문에 점차 줄여서 끊어야 한다는 것. (Tapering 요법) BB는 복용시 심박수가 감소하는 효과 때문에 무대공포증 예방요법으로도 많이 쓰인다.) 무대공포증이라는 것이 심리적인 부담도 있지만 심박수의 증가라는 신체 변화에 따라 더 떨리게 된다.

3. CCB(칼슘채널블로커)1) 약리기전

DHP(dihydropyridine) 구조와 Amlodpine 구조

칼슘이온은 심장에 작용해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혈관이 작용해 혈관수축의 작용을 한다. 따라서 CCB는 이러한 칼슘이온의 역할을 방해해 혈압을 낮추는 메커니즘을 가진다.

CCB는 DHP(Dihydropyridine)의 구조를 가지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N-DHP)의 2개의 계열로 나누어진다.

DHP 계열의 약물은 혈관에 작용해 혈관내 칼슘이온 유입을 차단하고 혈관을 확장시킨다.

N-DHP 계열 약물은 심장에 작용해 심장의 칼슘 채널을 차단하고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감소시킨다.

명명법 N-DHP 에는 Verapamil, Diltiazem의 2 종류가 존재한다.(현재 일하는 약국에서는 본 적이 없다.) DHP 계열의 약물들은 부모가 -dipine으로 끝난다. 고혈압 약으로 가장 잘 팔리는 CCB 약제가 amlodipine이다(고혈압 약은 주로 2제 병용이 많이 쓰이기 때문에 두 가지 고혈압 성분이 섞인 복합제도 많이 쓰인다. 상품명 듀얼 스타는 ARB인 텔미스 artan과 CCB인 amlodipine의 복합제로 매우 잘나가는 고혈압 약물 중 하나이다.)

특징 =CCB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변비가 있다.(다른 것은 특히 생각나지 않는다.)

쓰다보니 글이 길어져서, 이뇨제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하겠다! (이뇨제는 메커니즘에 따라 크게 5개 계열로 분류되므로 이뇨제 하나만으로도 양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ㅋㅋ

고혈압 치료제 aceiarb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하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m.blog.naver.com/tedpsy/222580836667 오늘은 복습 겸 고혈압 치료제인 ACEI와 ARB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잘 사줘… m.blog.naver.com

BB에 대해 알고 싶으시다면? 하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m.blog.naver.com/tedpsy/222585304484 오늘 복습할 약품은 고혈압 치료제 BB(베타 블로커)입니다. 베타블로커는 사실 고혈압 치료 가이드라인 m.blog.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