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영화 <다키스트 아워> – 인간 처칠이 아닌 수상 처칠의 고독과 결단
전쟁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시공간이다. 삶과 죽음은 말할 수 없다. 인간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요 죽음의 역사이다. 죽음의 무게와 영향은 다르다. 일상에서 죽음은 선택의 영역이 아니지만 전쟁은 삶과 죽음 사이를 고민하고 갈등하는 선택의 영역이다.

<영화 배경 줄거리>
제2차 세계대전의 나치 독일이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 전역을 함락하고, 해안도시 칼레와 덩케르크에서 프랑스 영국 연합국은 결사항전을 벌인다. 하지만 전세는 이미 독일로 기울고 있다. 만약 프랑스가 완전히 함락되면 영국도 독일 나치 깃발 아래 놓일 것이 자명한 상황이다. 정부와 군은 패색이 짙은 유럽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체임벌린은 총리직에서 물러나고, 군사령관 출신의 윈스턴 처칠이 총리직을 승계한다. 위기 상황에서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처칠은 독일과 평화를 위한 타협은 없을 것임을 선언한다. 일부 각료들은 처칠을 압박하며 타협회담에 무게를 두고 이탈리아 무솔리니를 통해 평화회담에 임할 것을 건의하지만 처칠은 단호히 히틀러와는 절대 타협하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 군사적으로 절대 열세인 상황에서 전쟁 중립을 선언한 미국의 도움도 얻지 못하고 서방은 독일 히틀러에 의해 대부분 함락된다.패색이 짙은 상황에서 죽음을 각오하고 응전할 것인지, 아니면 타협으로 비굴한 평화를 얻을 것인지 영국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또 굴욕적인 회담을 통한 평화가 진정한 평화가 될 수 없기 때문에 더 힘든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결국 평화를 위한 타협은 없다. 라는 결론을 내린다. 처칠은 하원의원 연설에서 사자후를 토한다. 여전히 회자되는 그의 연설은 결코 굴복할 수 없는 강한 메시지를 남긴다.

우리는 끝까지 싸울 겁니다. 우리는 프랑스에서 바다와 대양에서 싸울 겁니다.큰 자신감과 힘으로 하늘에서 싸워 어떻게든 우리나라를 지키겠습니다.우리는 해안에서, 상륙지에서 들판과 거리, 언덕에서도 싸울 겁니다.만약 우리나라가 정복되고 굶주려도 영국 함대가 수호하는 우리 대영제국은 계속 싸울 것이고, 머지 않아 강력한 힘을 가진 신세계가 구세계를 구원하고 해방될 것입니다.

프랑스 카레까지 함락된 상태에서 30만명이 넘는 영국군이 있는 덩케르크에서 영국군을 구출하기 위해 일반 함대가 아닌 민간 상선까지 동원해 구출작전에 투입된다. 800여 배가 넘는 배가 통케르크에 있는 대다수 영국군을 구출한다.

<영화를 보는 시선>
영화는 전쟁 장면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영화 닥스트 아워는 제목이 말해주듯 가장 어두운 시간, 즉 타협이냐 항전이냐의 양극단 선택 상황에서 수상 처치가 가장 어려운 결단의 시간을 잘 묘사한다. 다혈질에 알코올 중독, 시가를 물고 의원과 일반 국민 앞에 선 처칠은 총리 자리에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까다로운 성격의 처칠은 총리라는 자리가 주는 무게를 견디며 대중을 설득한다. 게리 올드먼의 처칠 연기는 압권이다. 실제 처칠을 제대로 보여줬는지는 몰라도 현실 인물보다 더 리얼하게 처칠을 연기한 것 같다.

처칠의 까다로움은 그가 비서를 대하는 태도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젊은 비서를 대하는 그의 태도는 무례할 뿐 아니라 인간적으로도 실망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그의 다혈질적인 기질과 태도는 오랜 군 생활에서 만들어진 부분임을 짐작케 한다. 영화 더키스트 아워는 인간 처칠이 아닌 수상 처칠의 모습을 시종일관 묘사한다. 전쟁이라는 엄혹하고 살벌한 상황에서 볼 수 있는 처칠의 모습을 영화는 잘 묘사한다.

<인상적인 장면>
마지막 의회 연설 장면이 인상적이었지만 그보다 더 인상적인 장면은 지하철에서 만난 시민과의 대화 장면이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다가가 이름을 물으며 히틀러와의 타협이 합당한가라는 질문에 일반 시민들은 타협하지 않고 응전할 것을 목청껏 외친다. 그래서 힘을 받은 처칠이 의회 연설에서 지하철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름을 부르며 절대 타협을 통한 평화를 국민은 원치 않음을 역설한다.

재미있는 관점의 영화보기
오락 영화가 아니다. 제대로 된 전쟁 장면도 나오지 않는다. 대부분의 장면은 처칠과 관료, 의원들과의 대화와 갈등이다. 그래서 전쟁영화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그러나 전쟁이라기보다는 전쟁하는 군인들 뒤에 정부와 관료의 세계를 들여다본다는 차원에서는 의미가 있다. 또 윈스턴 처칠 총리를 간접 경험하는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영화 감상이었다. 흥미보다 인간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 영화 닥스트 아워를 적극 추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