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의 80~90% 편도결석, 입냄새

여러분 안녕하세요, 마스크 착용이 생활화된 요즘 자신의 입냄새에 당황하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마스크 착용 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본인의 입냄새를 스스로 느낄 수도 있고, 원래 있던 입냄새가 더 심해져 불편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구취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특히 심하게 느낀다면 특정 질병의 신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중 구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편도 결석을 살펴 보겠습니다.

© kobbyfotos , 출처 Unsplas h

구취는 입과 목 언저리에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치과 질환이나 다른 장기에 이상이 없는데도 구취가 계속된다면 구강 내 세균에 의한 편도염, 편도결석이 주된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구취의 원인은 치과질환, 당뇨병, 편도결석, 간질환, 신장병, 역류성식도염, 위염, 과민성장증후군 등 다양한데 80~90%가 구강위생상태가 불량하거나 치주병, 백태, 음식물찌꺼기, 불결한 틀니, 상기도 감염인두염, 편도염, 구강암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 enginakyurt , 출처 Unspla sh

약 10% 정도는 기관지 확장증, 폐농양 등 폐 질환이나 간 질환, 장기 질환,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한연구에따르면인구의약31.8%가구취유병률이고편도결석이구취를유발하는중요유발인자로알려진다고합니다. 또한 편도 결석이 있는 사람은 편도 결석이 없는 경우에 비해 구취 검사 결과 약 10.3배 정도로 높은 수치의 구취 관련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확인된다고 합니다.

© CoolPubilcDomains , 출처 OGQ

충치가 없고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 입에서 냄새가 나거나 가래를 뱉을 때 악취가 나거나 편도선의 작은 구멍에 세균이 뭉쳐서 노랗고 좁쌀만한 덩어리가 생기면 편도염과 편도결석 때문일 수 있어요. 특히 요즘처럼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코로 호흡하기 어렵고 입으로 숨을 쉬거나 마스크 안쪽 부위를 손으로 만져 재사용할 경우 오히려 구강내 세균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고 편도염과 편도결석이 생겨 구취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towfiqu 999999 , 출처 Uns plash

편도염은 입 안의 목 주위와 코 뒤에 있는 림프기관인 구개편도, 혀편도, 아데노이드 등의 편도선에 세균과 바이러스로 인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편도염이 반복되면 편도의 작은 구멍이 커지고, 커진 구멍 속에 음식물 찌꺼기가 묻어 세균이 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며, 세균이 모이고, 작은 알갱이를 형성하여 편도결석이 되어 심한 입냄새가 생깁니다. 편도결석은 다른 결석과 달리 딱딱하지 않고 작고 노란 쌀알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enginakyurt , 출처 Unspla sh

거의 깊은 곳에서는 발생하지 않지만, 양치질이나 기침, 구역질이 날 때 배출됩니다. 그와 함께 목이 아파서 침을 삼킬 때 목에 뭔가 막힌 듯한 느낌이나 가려움, 귀가 아픈 느낌이 들면 편도 결석일지도 모릅니다. 또한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으면 입과 목구멍에 염증이 생겨 세균이 번식하여 편도 결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구강 건조증, 충치, 구강 위생 관리의 불량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편도 결석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로 입안이 건조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휴식과 청결한 위생관리 등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 kaylamaurais , 출처 Unspl ash

편도 결석은 자연스럽게 나오거나 흡입 등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편도염을 방치하지 말고 제때 치료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초기 급성 편도염은 염증을 제거하고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약물 치료와 발열, 목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해열 진통제를 복용하고 세균 감염이 있으면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한편 편도선염, 편도결석은 여러 가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므로 구취가 사라지지 않거나 수년에 3회 이상 반복되는 편도선염이 있다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