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한 C-ITS란? 스마트 자율주행을

안녕하세요 저희 생활에 꼭 필요한 서비스를 만들어드릴 민앤지 매니저 S입니다한국은 2022년부터 부분 자율주행차가, 2024년에는 완전 자율주행차가 일부 상용화될 전망입니다. 국내외 유명 자동차업계는 가까운 장래에 자율주행을 실현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부분 자율 주행 – 특정 주행 모드에서 시스템이 차량 제어를 모두 수행하고 운전자는 시스템 개입 요청 시에만 대체 수행하는 레벨 3 조건부 자동화 완전 자율 주행 – 모든 주행 상황에서 시스템이 차량 제어를 모두 수행하는 레벨 5 완전 자동화

이제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자들이 원하면 더 많은 운전 기능을 대신하는 지능형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안전 증대, 쾌적함 및 편의성 증가, 효율성 증가 등 운전자들이 차 안에서 편히 쉴 수 있는 자율주행의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하지만자율주행차가최첨단기능을장착하더라도완전한자율주행을위해서는도로환경정보가있어야위급상황에대처할수있는데요.즉,자율주행차가기능을발휘하기위해서는현재의도로도그것에맞게변해야한다는것입니다.오늘은 자율주행차의 한계를 극복하고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C-IT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 stem)는 교통시설 및 교통시설에 전자·제어 및 통신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교통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교통시스템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자동화하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제고하는 교통시스템입니다.자주 우리가 접하는 ITS를 살펴보면 버스정류장 버스도착 안내시스템, 교차로에서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신호가 달라지는 시스템, 네비게이션 실시간 교통정보, 하이패스 등이 있으며 교통카드 환승서비스도 ITS라고 할 수 있습니다.

C-ITS(Cooperative-Intellig ent Transport Systems)란? C-ITS란 용어는 유럽을 중심으로 2009년부터 사용돼 왔습니다. 차량이 주행중, 드라이버에게 주변의 교통 상황이나 급정거, 낙하물등의 사고 위험 정보를 리얼타임에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1. 교통사고 예방을 통한 안전성과 이동성 향상 – V2V(차량간), V2I(차량간 인프라간) 통신기반 정보공유 – 실시간 정보수집·제공·연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2. 2) 도로관리 중심에서 이용자 안전 중심의 패러다임 변화 – (ITS)커뮤니케이션 정보, 가공정보→(C-ITS) 안전정보, 실시간 정보 – (ITS) 즉시 대응 한계, 사후 관리→ (C-ITS) 사전 대응, 사고 예방

C-ITS와 ITS의 차이 C-ITS와 현재 ITS의 가장 큰 차이는 정보 공유에 있습니다. ITS 에서는 각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전달하는 방식으로 C-ITS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차량과 보행자 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으며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현재 ITS – 현장 -> 센터 -> 현장 등 센터 중심의 일방향 교통서비스 제공 – 차량과 차량과 도로 간의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이 분리 – 운전자 인지반응의 한계로 교통사고 시 신속한 대응에 한계 – 사후관리 중심

2) C-ITS – 현장(차량↔센터, 차량↔도로) 중심의 쌍방향 교통서비스 제공 – 주행 중 주변 차량 및 도로와 끊임없이 상호 통신하여 교통정보 교환·공유 – 교통상황 대응현장 중심의 신속하고 능동적인 대응 가능 – 사전 준비 및 회피 또는 사후 대응 중심

<출처 : 국토교통부> C-ITS 주요 서비스1) 위치 기반 차량랑 데이터 수집2) 위치 기반 교통정보 제공3) 스마트 통행료 징수4) 도로 위험 구간 정보 제공

<출처 : 국토교통부>5)노면상태, 기상정보제공6)도로작업구간 주행지원7)교차로신호위반위험경고8)우회전안전운행지원9)버스운행관리10)옐로우버스운행안내11)스쿨존, 실버존속도제어12)보행자충돌방지경고

<출처:국토교통부>13)차량충돌방지지원14)긴급차량접근경고15)차량긴급상황경고

세계 주요국의 정책 현황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정부 재정 지원을 바탕으로 투자 규모를 확대하고 자율주행 및 C-ITS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 사업을 통해 실제 도로 환경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1. 미국 1991년 [육상교통시스템 효율화법(ISTEA: Intermodal Surface Transportation Efficiency Act)]이 제정되어 지능형교통시스템을 추진하기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사업을 시행하면서 본격화하였습니다. 연방정부는 연구개발, 표준화, 전문성 제고, 지방정부에 대한 재정지원을 통해 ITS 확산을 유도하고, 지방정부는 ITS를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2. 2) 유럽 ITS 부문을 유럽 통합을 지원하는 TEN-T 사업에 포함시켜 유럽 국가의 지능형 교통시스템 도입을 지원합니다. 유럽 국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연구개발, 시범운영, 시스템 구축 사업을 지원하고, 유럽 수준의 교통 정보 공유를 위한 상호 운용성, 호환성 확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3) 일본의 「세계 최첨단 IT국가 창조 선진 공정표(2010~2020)」에서, 2020년까지 전국의 주요 도로의 교통 정체를 2010 연비로 반감시키는 것을 목표로 ITS-SPOT 프로젝트를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출처:국토교통부> 4)대한민국의 ITS 사업은 1993년 사회간접자본투자(SCO) 기획단에서 ITS 도입을 검토한 후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사업 추진을 결정하면서 시작된 것입니다. 203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를 목표로, 주요 도로의 안전성과 교통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차량 단말기의 보급등을 포함한 C-ITS 기본계획을 세웠습니다.

<출처:국토교통부> 현재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주도하에 대전시~세종시 고속도로 및 몇몇 국도와 시가지 도로에서 C-ITS 확대기반 조성을 위한 기술·서비스 개발 및 검증을 위한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완전 자율주행시대의 C-ITS 5G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로 인프라 중심의 기술이었던 ITS에서 자동차 및 이용자 중심의 C-ITS 기술로 교통시스템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혼잡 및 사고 사후 관리에서 사전 예방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C-ITS는 향후 자율주행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자동차 내외의 위험요소를 미리 감지하고 자율주행차 스스로 운행시 자동차와 도로가 원활하게 상호 연계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시스템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