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예능]’테마게임’, 1990년대 MBC 코미디의 황금기이자 개그맨들의 자존심

1990년대까지만 해도 KBS MBC SBS 등 방송 3사에 코미디/개그 프로그램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준 예능 중 하나였다. 평일과 주말에 걸쳐 2개 정도의 코미디 프로그램 편성은 기본처럼 받아들여졌고 각 사마다 매년 열린 공채 개그맨 선발대회는 엄청난 경쟁률로 치러지며 차세대 스타 발굴의 장이 됐다. 지금은 훨씬 옛날 일이 돼버렸지만 그 무렵 MBC 코미디는 남자다운 인기를 누렸던 존재였다. 특히 <오늘은 좋은 날>(1992~1999)과 함께 <테마게임>(1995~1999)은 그 시대 코미디 황금기를 상장한 추억의 프로그램이었다.

매주 토요일 밤 방영된 <테마게임>은 김국진, 서경석, 김진수, 홍기훈, 김효진 등을 주역으로 내세운 코미디물이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보통의 개그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스튜디오에 세트 설치하고 촬영하는 10분 이내의 코너를 모아 1시간 정도를 채우는 게 일반적인 형태였다. KBS <쇼! 비디오 잭키>(19881991)처럼 고교생들을 단체 관람 형식으로 불러 모은 대형 공개 코미디도 없지 않았지만 한바탕 웃음으로 코미디 세상만사(이상 KBS), 코미디 전망대, 웃으며 삽시다(이상 SBS) 등 1990년대 코미디 프로그램들은 대체로 비슷한 구성의 형식으로 시청자들을 찾아왔다.

드라마 형식으로 차별화…삶의 애환을 녹이며 큰 사랑을 받고

그런데 <테마게임>에는 기존 코미디/개그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매주 2편식 드라마 형식의 새로운 이야기를 담아 방송된 것이다. 개그 코너와 단편 드라마의 중간 길이가 호흡을 갖고 진행된 <테마 게임>은 하나의 주제를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 삶의 지혜와 희로애락을 부담없이 녹였다. 이때 방영된 소재는 단순히 코미디로 치부하기에는 상당히 깊은 내용을 다루면서 ‘코미디 프로=아이들이 보는 방송’이라는 선입견도 타파한다.

첫사랑 혹은 노년의 사랑을 다룬 로맨스 소재부터 신분 상승을 노린 악마와의 거래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성공을 얻었지만 더 큰 욕심을 내며 파멸한다는 스토리를 담은 에피소드 등은 20여 년이 지난 지금의 기준에서도 상당히 흥미를 주는 이야기였다. 때로는 SF, 공포물, 성전환 등 소재도 서슴없이 소개될 정도로 드라마 이상의 파격적인 접근도 이뤄지며 <테마게임>은 오랫동안 토요일 시간의 강자로 자리매김한다. PC통신 세대로 불렸던 20대 젊은 시청자들의 지지 속에 코미디 프로그램으로는 이례적으로 경실련 선정 시청자가 뽑은 좋은 프로그램(1998년)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작품성도 인정받았다.

김국진 등 개그맨들의 탁월한 연기…●꿈나무 등용문 역할도

<테마게임>의 주인공 자리는 대체로 그 시대를 대표하던 인기 코미디언 자리였다. KBS 출신 김국진을 중심으로 MBC 공채였던 서경석 김진수 김효진 등은 매주 각 에피소드의 주연을 맡으며 배일집 등 고참 개그맨들과 좋은 호흡 속에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아무리 짧은 분량이라지만 <테마게임>처럼 양극에 가까운 내용은 결코 쉽게 소화하기 어려운 것이었지만 이들은 기성 배우들과 비교해도 결코 손색이 없을 정도로 훌륭하게 소화했다. 특히 김국진은 진지함과 뻔뻔하게 넘나드는 캐릭터를 자신의 것에 녹여내며 1990년대 후반 연예계 최고의 스타 반열에 올랐다.

이 무렵 <테마게임>은 연예계 젊은 유망주들의 등용문으로도 각광받았다. 차인표처럼 이미 인기 스타로 자리매김한 인물뿐 아니라 최지우 이정현 김선아 이요원 등 이제 막 배우로 성장한 이들이 주연 또는 상대역으로 출연해 시청자들의 눈에 띄었다. 뿐만 아니라 박진영, 김윤아(더우림), 장호일(O15B), 스티브 유(유승준) 등 가수들도 부담없이 연기 도전에 나설 정도로 <테마게임>은 그 시절 누구나 출연을 원했던 예능 프로그램이었다.

소재 고갈, 반복되는 화답습 속 1999년 종영

그러나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 김용현(육룡이 나르다), 박해령(당신이 잠든 사이) 등 훗날 유명 드라마 작가들을 배출할 정도로 탁월한 이야기를 매주 만들어낸 <테마게임>이었지만, 지금 기준으로 보면 표절, 도용 논란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약점도 드러냈다. <마지막 잎사귀>, <파우스트> 같은 고전 작품 오마주를 넘어 <환상특급>(미국), <기묘한 이야기>(일본) 등 해외 TV 시리즈의 내용을 그대로 차용한 방영분도 등장했기 때문에 이는 후일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는 저작권 개념이 희박했던 당시 방송계 상황도 원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한정된 제작 인력만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테마게임>은 어느 순간 한계에 부딪히고 만다. 소재는 고갈되고 매너리즘으로 지적될 정도로 큰 변화가 없는 구성에 시청자들은 조금씩 등을 돌리기 시작했고, 특히 프로그램의 주역 김국진이 1999년 하차하면서 큰 타격을 받는다.

최고 인기 사극 용의 눈물(19961998)과의 경쟁에서도 결코 뒤지지 않았지만 정작 자신과의 싸움에서는 이겨내지 못한 채 1999년 11월의 테마 게임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비록 4년여의 짧지도 길지도 않은 방영 기간이었지만 <테마게임>은 기존 코미디 또는 드라마와 차별받는 자신만의 것을 만들며 유행을 주도한 프로그램으로 기억될 만하다. 개그맨들이 방송계 흐름을 주도한 황금시대 끝에는 그렇게 <테마게임>이 자리 잡고 있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