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과 시청 점유율의 차이는?

시청률과 시청 점유율의 차이, 여러분은 알고 계신가요?시청률은 알고 있어도 시청 점유율은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거기서 준비했어요!시청률과 시청점유율이 뭐가 다를까요?

▲ TV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특정 TV 프로그램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시청했는지를 알 수 있는 수치입니다. 시청 점유율은 시청자가 특정 TV 프로그램을 얼마나 많이 시청했는지 알 수 있는 수치입니다.

시청률과 시청 점유율의 차이, 눈치채셨나요? 시청률은 시청자의 수를, 시청 점유율은 시청 시간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사람의 수와 시청 시간을 나누어 측정하는 것은 왜일까요?

시청률과 시청 점유율의 조사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시청률을 조사하는 이유는 방송 광고 가격을 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한정된 광고 예산으로 최대의 광고 효과를 내기 위해 시청률은 중요한 지표입니다. 또한 방송국 편성 담당자가 프로그램을 평가·편성하는데도 사용되어 방송 정책 수립이라는 공공 목적을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시청 점유율을 조사하는 목적은 특정 방송 채널이 독과점을 제한하고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며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시청점유율을 30%로 제한해 독과점을 막고 다양한 채널을 방송하면 시청자의 방송채널에 대한 선택권을 넓힐 수 있어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시청률과 시청점유율 시청률은 프로그램, 광고, 채널 단위로 조사하며 시청점유율은 채널만 조사하는 것, 시청률은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조사시간이 다르지만 시청점유율은 하루 전체를 조사하는 것, 시청률은 닐슨코리아와 TNMS에서 모집단을 추출하여 자체 조사하지만 시청점유율은 방통위에서 조사하는 것 등 구체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 표에 정리해 봤습니다.구분시청률 시청점유율 조사목적 방송광고단가 산정기준 프로그램편성·평가기준 방송법(69조의2)에 따른 규제수단 조사단위 프로그램, 광고, 채널단위 채널조사시간 구매자 요청에 따라 구성예) 지상파: 오전(06~11시), 오후(17~25) 하루 24시간 전체 시청점유율, 어떻게 조사하나?

▲ 개인 미디어 보유 및 이용 시청 점유율을 조사하면 한국의 가구와 개인 미디어 보유 및 이용에 관한 실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청점유율 기초조사’는 1) 기초조사2) 패널 선정과 관리3) 데이터 산출 단계로 진행되는데, 한 단계씩 살펴보겠습니다.

  1. 기초조사 기초조사는 국민의 대표 집단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2018년에는 전국 20,000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가구원 41,390명을 대상으로 TV 보유량, TV 수신 방법, TV 시청량 등을 조사하였습니다.

2) 패널 선정과 관리 기초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TV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합니다. 알아낸 요소의 비율에 맞게 다시 패널을 선정합니다. 선정된 패널에 TV 시청을 할 때 개인 시청자 번호를 입력시켜 누가 시청했는지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3) 데이터 산출 패널의 기록은 피플 미터라고 하는 디바이스에 기록됩니다. 대표 집단과 패널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시청 기록에 무게를 실어 최종 데이터를 계산합니다.이렇게 시청률과 시청점유율의 차이부터 시청점유율 조사방법까지 알아봤는데 시청률도 중요하지만 시청점유율 역시 방송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방송통신위원회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좋은 방송 정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