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으로 우주산업을 실현하겠다! 한화우주항공

한화에서 인공위성의 핵심 핵심 기술을 모두 국산화하려는 얘기를 접했다. 우주산업은 미래의 좋은 먹거리가 될 예정이지만 한화가 앞장서 개발 및 미래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한화가 심혈을 기울일 우주산업을 서술하고 국산화가 이뤄지면 어떤 면에서 좋은지 그 장점을 정리해 보자.

우주 산업, 인공 지능이 등장하면서부터 우리의 생활 방식은 완전히 바뀌었다. 인공위성이 탄생함에 따라 GPS로 지도 앱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올림픽 바다 건너 경기를 관람하고 한국의 미세먼지 수치와 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기술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인공위성은 군사용 방송/통신용 우주관측용 기상관측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태풍의 이동경로와 강수량, 바람 등 기상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과학위성은 천문학 분야에서는 많이 활용되지만 지구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천체를 확인할 수도 있고 허블우주망원경도 인공위성 중 하나다.

이처럼 인공위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은 무궁무진하고, 한국도 밀접하게 인공위성을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는 인공위성 없는 삶은 꿈도 꾸기 어렵다.

그렇다면 이러한 우주 산업의 핵심이 되는 인공위성을 한국의 국산 기술이 아닌 해외 기술을 이용할 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까. 바로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이다. 우리가 아무리 우주산업을 꿈꾼다 해도 해외기업으로부터 기술적인 지원을 받아야만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고 그제야 우주산업을 할 수 있는 아이러니컬한 상황을 맞게 된다.

이렇게 되면 역지사지의 신세가 되는데 해외기업이 도와주지 않는 한 인공위성도 뜨지 못하고 우주산업을 시작하기도 전에 아예 막히는 불상사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화가 이 인공위성 핵심 기술을 모두 국산화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인공위성은 지구 중력과 다른 행성 인력의 영향으로 궤도를 도는 데 끝없는 방해를 받지만 정상적인 위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주 공간에서 수시로 추력기를 가동해 궤도와 자세를 바로잡게 된다. 추력기 연료를 모두 쓰면 더 이상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임무 수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인공위성의 생명과 직결된 추력기를 인공위성의 심장이라고 부른다.

한화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5년까지 정지궤도위성이 더 장기간 안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저장 성 이원추진제 추력기를 함께 개발해 국산화하기로 했다. 정지궤도 위성은 발사체에서 분리된 뒤 높은 임무 궤도까지 자체 추력으로 올라가야 하고 15년 이상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 작동해야 하지만 그동안 정지궤도 위성에 적용된 이원추진제 추력기는 독일과 같은 해외 업체에 의존해 왔다.

정찰과 통신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인공위성에서는 국가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개발은 대한민국의 우주산업과 경쟁력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고 한화가 너무 갑자기 우주산업에 뛰어들었다고 해서 뛰쳐나온 것은 아니다. 한화는 90년대 중반부터 위성 단일 추진제 추력기를 생산해 기술력을 키워왔다. 한화가 납품한 추력기는 다목적 실용위성, 차세대 중형위성 등에 장착돼 지금도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동안 한화가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번에는 단일추진제가 아닌 이원추진제 추력기 개발에 참여하게 됐다.

2010년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7번째 정지궤도 기상위성 보유국이자 2018년에는 천리안 2호 발사 성공으로 세계에서 3번째 정지궤도 기상위성 보유국으로서 국내 위성기술의 위상이 높아졌다. 머지않은 민간 뉴스공간 시대를 앞두고 100% 해외 기술력에 의존해온 핵심기술로부터 우리나라가 기술독립을 실현할 날이 멀지 않았다. 한화 파이팅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