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의 보험금 분쟁을 해결하고 있는 보.상.해.결.사입니다!
오늘 알아보는 진단명도 매우 오랜 시간 분쟁을 겪고 있는 진단으로, 여전히 고객과 보험 회사의 다툼은 계속되고 있군요.
갑상선암(C73)과 함께 방문하는 림프절 전이 분류 번호인 C77 코드입니다.

갑상선은 목의 앞과 양쪽에 위치하고 있는 기관입니다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갑상선 질환인 분에게는 호르몬 처방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갑상선에 발생하는 여러 질병 중 역시 가장 심각한 진단명은 갑상선암입니다.
한국표준질병자분류(KCD)에 따라 C73이라는 분류번호가 부여되며 이에 따라 가입한 암 진단비의 약 20%금액이 지급됩니다.

고액의 암 진단비를 기대하고 있었지만, 일부만 지급되는 것에 실망해 버립니다만, 보험 회사의 이 결정에는 그만한 이유가 존재합니다.
갑상선암 성격이시군요.갑상선암은 다른 부위에 발생하는 암에 비해 예후가 양호합니다.
종양을 절제한 후에는 호르몬제를 투여함으로써 치료 종결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암 치료 및 방사선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이군요.

얌전한 성격과 양호한 예후를 감안하여 비교적 낮은 금액의 진단비가 지불되며, 이러한 내용은 약관에 명확하게 쓰여져 있기도 합니다.
위험이 낮은 진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은 돈을 주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사실상 이런 내용만 봤을 때는 분쟁의 원인을 찾기가 힘듭니다.그.로.나!!!

갑상선암은 특별히 이상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우연한 기회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중에 발견된 갑상선암은 발경 당시 이미 주변 림프샘으로 전이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주변 림프절로 전이된 경우에는 갑상선암에 사용되는 C73코드 외 C77코드를 별도로 부여할 수 있으며 이는 약관에서 정한 일반암에 해당한다는 사실!


위 사진 속 암분류표를 보면 14항의 불명확한 2차성 악성 신생물(C76~C80) 중 C77코드를 일반 암으로 분류하고 있네요.
반면 아래 사진을 보시면 C77 코드에 해당하는 경우는 원전 부위(최초 발생 부위)를 기준으로 분류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말은 즉, 주변 림프절로 전이되었다고 해도, 처음에 발생하는 갑상선암을 기준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의미가 됩니다.

비록 주변 림프절로 전이되었다고 해도 치료 방법은 같고 예후도 양호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뿐!!! 여기서부터 분쟁이 시작됩니다.
보험약관에서 정한 내용이 의학적으로 본 경우 아무런 문제가 없는 주장이라도
이렇게 중요한 내용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면 얼마든지 회원 입장에서 암 진단비를 받을 수 있다는 것.

보험회사가 설명의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으면, 이것을 근거로 고객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보험 가입 시점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포기해서는 안 되는군요.
실제로도 분쟁을 벌인 뒤 보험금을 못 받는 사람보다 모르고 청구할 엄두를 못 내는 사람이 훨씬 많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항상 정당한 의심을 가지고 검토해야 합니다.검토한 후에 받을 수 없는 보험금과 몰라서 받지 않는 보험금은 하늘과 땅 차이라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지금 바로 보상해결사로부터 “확인”하세요!

갑상선암(C73)으로 진단되어 암 진단비 청구를 앞둔 환자분!-갑상선 림프절 전이(C77)로 진단받았는데 소액암으로 인정된 분!
보험회사에서 먼저 퇴근한 후에는 늦을 수 있어요. 청구하기 전에 미리 상담 바랍니다.
보험사가 먼저 부지급에 대한 근거를 마련한 뒤 반증을 통해 지급을 주장해야 하는데, 반증은 입증보다 어렵습니다.- 보험금 청구 관련 어떤 문의도 가능하니 꼭!!! 무료상담을 받아주세요.^^
“아래 배너를 통해 보상상담이 가능하며 단순상담에 대한 어떠한 비용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꾹꾹!!!”


